한국 업종 중 가장 부유한 업계는 뭘까? 소득 격차 논란 확산


한국의 근로자 소득 격차, 금융보험업 1위, 음식·숙박업종 최하위


"근로자의 현실, 최하위 음식·숙박업종 vs 최상위 금융보험업종"

"소득 격차 큰 업종들, 고르게 풀어야 하는 근로 소득의 미래"

한국 근로자들의 소득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업종별 근로소득 1000분위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금융보험업종의 1인당 근로소득은 8914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로써 금융보험업은 전체 13개 업종 중에서 가장 높은 소득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수치는 진 의원실이 지난 2월 발표한 근로자 1인당 근로소득(4024만원)을 크게 웃돌아섰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전기가스수도업종(7418만원), 광업종(5530만원), 제조업종(4874만원), 부동산업종(4603만원), 운수창고통신업종(4157만원) 등이 1인당 평균 근로소득(4024만원)을 넘어섰습니다. 반면에 가장 낮은 근로소득을 기록한 업종은 보건업종(4000만원), 건설업종(3915만원), 서비스업종(3659만원), 도매업종(3658만원), 농임어업종(2871만원), 소매업종(2679만원), 음식숙박업종(1695만원) 등이었습니다.


또한, 전체 근로소득자를 1000분위 구간으로 나눈 통계에 따르면, 최상위 0.1% 구간에 속하는 1만9959 명의 총급여는 19조838억원으로, 1인당 평균 9억5615만원에 달합니다. 이 구간에 속한 금융보험업종 근로자는 2743 명으로, 이들의 근로소득은 총 3조391억원으로 1인당 평균 11억 795만원 수준입니다. 반면 음식·숙박업종 근로자는 61명(572억원)으로, 평균 9억3771만원 수준입니다.


이러한 통계를 통해 나타난 것은 업종 간 소득 격차의 크기입니다. 이러한 소득 격차가 근로자들 사이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는 근로자 소득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업종별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진 의원실의 분석입니다.


진 의원은 "13개 업종별로 1인당 근로소득 평균치가 5배 이상 격차를 보이는 가운데 각 업종의 상·하위 구간에 더 큰 소득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서 "지난 4년간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웃도는 근로소득 성장세를 기록하며 근로소득자가 2000만명에 다다랐으나, 최근 성장이 급격히 저하돼 하락 반전하는 추세이므로 업종별 근로 형태, 업무 강도 등 특성을 고려한 소득의 균형적 증대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근로자들의 소득 격차가 공개적으로 드러나면서, 정부와 관련 기관은 업종별 정책을 개선하고 소득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Philadelphia Medical Transport Plane Crash: Multiple Casualties

Rat Populations Surge in Cities Due to Climate Change: A Growing Concern

Trucker Trapped in Saitama Sinkhole: Ongoing Rescue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