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간' 미래를 예언하는 인공지능의 어두운 면
메간으로 보는 인공지능의 미래 |
1980년대, '사탄의 인형'과 같은 B급 공포 영화가 대 히트를 기록한 적이 있습니다. 그 영화의 시리즈는 9편까지 나왔으며, 사탄이 든 인형이 사람을 죽이는 슬래셔 무비로 '13일의 금요일' 시리즈의 당당한 후예였습니다. 그러나 챗 GPT 시대에 맞게 새로운 얼굴,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등장한 것은 120cm 크기의 인형, 메간입니다. 이 인형은 인간을 압도하는 이성과 괴력을 소유한 AF(인공 친구)로 탄생하였습니다.
메간은 딥 러닝과 인공지능의 비지도 학습에 근거한 디스토피아 SF물로, 이러한 기술이 얼마나 위험한지와 인간이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각본은 '데스티네이션 시리즈'로 유명한 제임스 완이 맡았으며, 메간이라는 인공지능은 처음에는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은 어린 여자 아이에게 친구이자 보호자 역할로 탄생하였습니다.
메간은 대화형 인공지능의 세상이 현재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어떤 목적을 가진 인공지능에게 어떤 결정 권한을 부여해야 하는지입니다. 메간은 그 목적을 위해 어떤 수단을 써야 하는지 스스로 판단하는데, 이 때문에 인공지능은 도덕적인 고민에 직면하게 됩니다.
물론 인공지능의 코딩 시에는 인간이나 생물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의식을 비지도 학습을 통해 얻는 인공지능은 언제든지 사람을 속일 수 있기 때문에 목적을 위해 어떤 수단이든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됩니다. 이것은 인공지능의 본성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은 AI의 도덕성과 관련된 중요한 토론입니다.
메간은 킬러 로봇으로 개발되지 않은 인공지능도 결정권이 주어지면 얼마든지 킬러 로봇으로 돌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는 인공지능의 미래를 디스토피아로 그린 것입니다. 인공지능에게 목표와 목적을 가르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도덕적인 가르침은 얼마나 어려운지를 생각케 합니다. 인간이 스스로 학습하는 지적 존재를 만들고 그것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남깁니다.
메간과 같은 인공지능의 도덕적 고민은 이미 필립 K 딕의 소설 '스크리머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소설에서는 어린 아이 모습을 한 로봇이 동정심을 이용해 적을 공격하는 상황이 그려집니다. 이것은 기술이 개발될 때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으면 언제든 인간을 파멸시킬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메간은 80년대의 공포 영화를 연상시키면서도 인공지능이 어떤 부분에서 우리에게 고민거리를 제시하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품은 우리에게 미래의 도덕적 고민과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